a human rights policy
인지컨트롤스는 모든 임직원과 이해관계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존중하는 책임 있는 기업으로서 다양한 정책과 지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권경영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임직원들이 지켜야 할 올바른 행동과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는 인권헌장을 제정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인권경영 및 윤리경영 실행에 필요한 기준과 절차에 대한 인권노동규정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직원들의 안전하고 존중 받는 근로환경 조성을 위해 성희롱예방지침, 직장내괴롭힘예방지침을 마련하여,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인권 보호와 윤리적인 기업 문화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며, 신뢰할 수 있는 기업으로 성장하겠습니다.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는 사회적가치 실현과 누구나 존중 받는 인권경영을 바탕으로 모든 임직원이 지켜야 할 올바른 행동과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는 인권헌장을 제정하고 이를 성실히 준수하고 실천할 것을 다짐한다.
하나,
우리는 인권이 존중되고
사람이 먼저인 경영을
우선시 한다.
하나,
우리는 임직원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들에
대하여 인종, 종교, 성별, 정치적 성향, 출생지,
신분, 가족의 형태와 구성 등을 이유로
차별 하지 않는다.
하나,
우리는 어떠한 형태로든
강제노동 및 아동노동을
허용하지 않는다.
하나,
우리는 안전하고 위생적인
근무환경을 조성하여
산업안전과 보건을 증진한다.
하나,
우리는 법정 근로시간을 준수하며
적법한 보수를 지급한다.
하나,
우리는 결사 및 단체교섭의 자유를
보장한다.
하나,
우리는 환경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한다.
하나,
우리는 인권침해를 사전에 예방하며
적극적인 구제를 위하여 노력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인권 안전 , 환경 개선활동을
영위해간다.
Operation of Cyber Newspaper
인지컨트롤스는 인권경영 실천의 일환으로 임직원들이 근무 중 겪는 다양한 문제를 안전하게 제기할 수 있도록 그룹 차원에서 운영되는 사이버신문고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익명 제보가 가능하며, 제보자의 신분을 철저히 보호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있습니다. 접수된 제보는 감사담당 부서에서 사실 확인을 거쳐 처리되고, 제보자는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투명하고 공정한 고충처리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직원들이 신뢰할 수 있는 근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사이버신문고 처리과정
기명/익명
제보 접수
감사담당부서
FACT CHECK
결과 처리
제보자
피드백 등록
human rights education
인지컨트롤스는 사업장 내 인권 보호와 건강한 근무 환경 조성을 위해 정기적인 인권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성희롱 예방 교육과 괴롭힘 예방 교육을 각각 3회씩 진행하였습니다. 성희롱 예방 교육에서는 관련 법령, 직장 내 성희롱의 개념, 발생 시 처리 절차 및 피해자 보호 조치 등을 교육하였으며, 예방 관련 동영상을 통해 실질적인 이해를 도왔습니다. 또한, 성희롱 피해자를 위한 고충 상담 및 구제 절차를 안내해 피해 근로자가 신속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괴롭힘 예방 교육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의 유형과 예방 방법, 그리고 피해자 보호 절차에 대해 교육하여 근로자 간 존중 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인지컨트롤스는 직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사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승진자 교육, 소통 교육, 계층별 교육, 리더십 교육 등 폭넓은 학습 기회를 제공하며, 직원들의 직무 역량 향상을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에는 직원들의 ESG경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삼성전자가 주최하는 협력사 개방형 ESG 세미나에 직원들이 참석할 수 있도록 독려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직원들이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2024 사내교육 이수율
구분 | 입문교육 | 윤리교육 | 가치관교육 | 내부회계 관리교육 |
경력입사자 교육 |
합계 |
---|---|---|---|---|---|---|
대상자 | 45 | 204 | 53 | 56 | 18 | 376 |
수료자 | 37 | 204 | 30 | 56 | 15 | 342 |
참석률(%) | 82% | 100% | 57% | 100% | 83% | 91% |
인지컨트롤스는 분쟁 지역에서 채굴된 광물의 사용을 금지하고
윤리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분쟁 지역에서의 광물 채굴이 아동 노동 착취와 같은 심각한 인권 침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깊이 우려하며, OECD 가이드라인, 미국 도드-프랭크법, EU 분쟁광물 규제에 따라 CMRT(분쟁광물 보고서)를 통해 주석, 탄탈륨, 텅스텐, 금, 코발트 등의 광물이 윤리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a health and safety policy
인지컨트롤스는 임직원과 협력사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안전하고 쾌적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중대재해 예방 시스템 강화’, ‘환경개선 활동 중점 추진’, ‘ESG 경영활동 구축’을 목표로 한 안전환경 정책을 수립하고, 근로자들의 안전 의식을 제고하는 특화 교육을 실시해 현장 실행력을 높였습니다. 또한, 최근 3년간의 재해 원인을 분석하여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점검과 개선 활동을 정례화하며 무사고 달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노사 협력 하에 안전설비 개선과 현장 점검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재해 조사 및 보고 규정, 잠재 위험 관리 지침 등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통해 안전보건 시스템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안전보건경영 방침은 모든 임직원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와 인트라넷에 게시되어 있습니다.
인지컨트롤스는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등으로 구성된 안전보건 조직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장별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보수교육을 이수한 공장장을 안전보건총괄책임자로 임명하여 작업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업무를 총괄 관리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술사항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를 두고 있습니다. 적극적인 안전보건경영 노력의 결과, 2020년에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ISO45001)을 획득하였으며, 2023년 갱신하는 등 인증자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인지컨트롤스는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공정한 거래 질서 확립 및 지속가능한 관계 유지를 목적으로 한 다양한 협약과 규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협력업체와의 계약은 규정에 따라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도급 공정거래 동반성장 협약’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협력업체 선정 및 관리 규정을 통해 우수한 업체 확보 및 협력사의 성장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세계 지역별 환경법규에 대응하기 위하여 친환경 부품 공급 협정을 맺음으로써 환경 유해물질 사용을 금지하고 지속가능한 생산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협력업체 동반성장 관련 협약 및 규정
하도급 공정거래 및 동반성장 협약 |
|
---|---|
협력업체 계약 체결 규정 |
|
협력업체 선정 및 관리 규정 |
|
친환경부품공급 협정서 |
|
인지컨트롤스는 지역사회 공헌을 위해 다양한 사회적 책임 활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2012년부터 인근 노인복지시설에서 매월 정기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매월 셋째 주 수요일에 본부별로 팀을 구성해 봉사활동을 실시했습니다. 또한, 지역사회의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직원들이 참여하는 모금 활동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시흥시 1프로복지재단의 '추석 온정 나누기’ 행사 및 연말모금 캠페인에 참여하여, 총 모금액 1000만 원을 기부했습니다.
2024 사회공헌 기부액
날짜 | 기부처 | 모금액 |
---|---|---|
2024.11.20 | 사회복지법인 시흥시1프로복지재단 | 10,000,000 |
2024.12.19 | 노인복지시설(글라라의 집)물품 기부 | 2,000,000 |
인지컨트롤스는 결사 및 단체교섭의 자유를 보장하며, 원활한 노사 소통과 상호 협력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2008년 노동조합을 설립한 이래, 정기적인 노사협의회를 통해 단체보험 가입 인원 확대, 시설 개선, 메신저 사용 관리 등 임직원의 복지와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안건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임직원 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해 구내식당, 통근버스, 사내 청소 인력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개선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임직원 현황
구분 | 항목 | 세부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총 구성원수 | 명 | 710 | 743 | 718 | ||
근로형태 | 정규직 | 명 | 710 | 742 | 701 | |
기간제 근로자 | 명 | 0 | 1 | 17 | ||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 명 | 0 | 0 | 0 | ||
성별 | 임원 (이사 이상) | 남성 | 명 | 23 | 30 | 24 |
여성 | 명 | 0 | 1 | 2 | ||
여성구성원 비율 | % | 0 | 3 | 8 | ||
관리직 (부장/팀장) | 남성 | 명 | 56 | 80 | 72 | |
여성 | 명 | 1 | 1 | 1 | ||
여성구성원 비율 | % | 1.8 | 1.3 | 1.4 | ||
일반직 (사원~차장) | 남성 | 명 | 537 | 531 | 525 | |
여성 | 명 | 93 | 100 | 94 | ||
여성구성원 비율 | % | 17.3 | 18.8 | 17.9 | ||
신규 입사 및 퇴직 | 신규 입사자 | 명 | 127 | 139 | 80 | |
이직 및 퇴직자 | 명 | 108 | 108 | 107 | ||
이직 및 퇴직률 | % | 15 | 15 | 15 | ||
근속 연수 | 남성 | 년 | 11.5 | 12.3 | 12.6 | |
여성 | 년 | 14.58 | 14.02 | 15.00 |
노동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노동조합 가입원수 | 명 | 473 | 482 | 455 |
노동조합 가입비율 | % | 67 | 65 | 63 |
노사협의회 개최 | 건 | 4 | 4 | 4 |
다양성 및 포용성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장애인근로자 | 명 | 7 | 7 | 6 |
국가보훈자 | 명 | 4 | 4 | 4 |
고졸 | 명 | 136 | 136 | 136 |
산업안전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안전점검 실시 | 건 | 12 | 12 | 12 |
산업재해율 | % | 0.18 | 0.37 | 0 |
안전보건경영시스템(ISO 45001) 적용 사업장 비율 |
% | 100 | 100 | 100 |
개인정보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개인정보 유출 건수 | 건 | 0 | 0 | 0 |
개인정보보호교육 수료 인원 | 명 | 68 | 70 | 73 |
지역사회
항목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사회공헌(기부) 금액 | 원 | 10,000,000 | 20,000,000 | 12,000,000 |
구성원 봉사활동 시간 | 시간 | 360 | 363 | 372 |
인권
구분 | 항목 | 세부항목 | 단위 | 2021 | 2022 | 2023 |
---|---|---|---|---|---|---|
고충처리 | 임직원 고충처리 접수 및 처리 건수 | 건 | 30 | 33 | 26 | |
교육 | 5대 법정교육 수료 인원 | 성희롱 | 명 | 710 | 743 | 634 |
산업안전보건교육 | 명 | 710 | 743 | 960 | ||
개인정보보호 | 명 | 68 | 70 | 73 | ||
직장내 장애인 인식 | 명 | 710 | 743 | 736 | ||
직장내 괴롭힘 예방 | 명 | 710 | 743 | 634 | ||
복리후생 | 복리후생비 | 천원 | 1,111,202 | 1,085,800 | 1,061,263 | |
복리후생 | 육아 휴직 대상 인원 | 남성 | 명 | 81 | 78 | 77 |
여성 | 명 | 4 | 4 | 5 | ||
육아 휴직 사용 인원 | 남성 | 명 | 6 | 4 | 2 | |
여성 | 명 | 1 | 1 | 2 | ||
육아 휴직 사용 후 복직 인원 |
남성 | 명 | 6 | 3 | 3 | |
여성 | 명 | 0 | 0 | 0 | ||
육아 휴직 복직 후 12개월 이상 유지 인원 |
남성 | 명 | 3 | 2 | 4 | |
여성 | 명 | 0 | 0 | 0 |